'서버관리'
제안
서버관리와(과) 일치하는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제안:
- 모든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지 확인하세요.
- 다른 검색어를 사용해 보세요.
- 더 일반적인 검색어를 사용해 보세요.
Microsoft Azure Fundamental (AZ-900) 시험 자격증 요약 및 덤프 정보
드디어 Microsoft Azure Fundamental (AZ-900) 시험에 합격했습니다. 한국 MS 본사 Azure Training Day 1일 무료 강의를 듣고나서 조금 공부를 해보니 그다지 어렵지 않다고 판단하여 덤프를 보지 않고 섣불리 응시했다가 아쉽게 커트라인 700점에 못미쳐 탈락했다가 덤프로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재응시하여 합격한 케이스인데, 이 시험에 대해서 평가하자면 일단 문제를 굉장히 꼬아놔서 대충 공부하고 응시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시험 자체가 어떤 원리를 깊이 이해해야 한다기보다 Azure Portal에서 제공하는 전반적인 서비스를 숙지하는데 많은 시간과 공을 들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Compute, Storage, VM, Network, Security, ..
KT홈허브에 ipTIME 공유기를 연결하여 멀티브릿지(리피터) 모드로 사용하기
한 집에 방이 여러개인 경우 특정 구역에서는 와이파이가 제대로 잡히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사용하는 KT홈허브에 ipTIME 공유기를 연결하여 멀티브릿지(리피터) 모드로 사용하면 ipTIME이 KT홈허브에서 받은 와이파이 신호를 증폭하여 음영 구역에서도 와이파이나 유선 인터넷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인터넷이 꼭 KT가 아니더라도 SK나 LG도 자체 허브(AP)에서 이러한 기능을 지원할텐데 일단 제가 사용하는 KT를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위 그림을 보시면 좌측 KT홈허브 관리자 페이지(http://homehub.kt.com:8899) 접속 > 로그인 (ID : ktuser / PW : homehub) > 상태정보 > 시스템정보를 보시면 IP정보는 다르겠지만 다음과..
아마존 AWS EC2 에서 리눅스 구축하여 개인용/업무용으로 활용하기
아마존같은 퍼블릭 클라우드를 업무, 개인용으로 사용할 수 없을까 고민을 하다가 Amazon AWS EC2 클라우드에 리눅스를 구축하는 방식을 시도해보기로 했다. 일단 아마존 AWS 계정이 있어야 하고 가입 첫 12개월 동안은 EC2 서비스 내에 특정 서비스는 아마존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업무, 개인 파일 저장 용도로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N드라이브 같은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 정도면 충분하겠지만 고급 사용자들은 자체 서버를 구성해서 자신만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싶기도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웹 개발자가 자신만의 웹 서비스를 구축한다던지 DBA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던지 말이다. 이런 경우 남는 PC를 서버로 구축해서 인터넷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방법 혹은 VM웨어 등의 가상머신을..
리눅스 서버 SSH 접근 해킹 시도 로그 분석
부모님 집에 소형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면서 허브 자체의 포트포워딩 기능을 이용해 서버를 직접 외부 인터넷에 곧바로 연결시켰지만 얼마 가지 않아 외부에서 들어오는 SSH 로그인 시도가 너무 많아져서 서버 속도가 너무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다가 몇 개월 후에는 아예 서버가 해킹 당했는지 부팅조차 되지 않는 상황이 되어서 결국 리눅스 시스템을 다시 구축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 후 일반 회사 인프라쪽에서 일을 하면서 알게된 사실은 자체적으로 서버실을 운영하는 기업들은 프록시서버나 웹서버처럼 외부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야 하는 서버만 DMZ이라는 중립적인 구역 안에 두어 외부 인터넷과 연결 되게하고 그 외의 사내 인트라넷이나 ERP 시스템 등은 라우터나 방화벽 등을 이용해 외부와의 연결을 철저하게 막는다는 것을 알..
연습용 루트계정 리눅스, 윈도우 터미널 원격 접속 제공하는 사이트 (센트OS, 페도라 등)
리눅스를 배우면서 우연히 유용한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PC에 리눅스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VMware 같은 에뮬레이터를 이용해서 가상으로 구현하는 방법, 그리고 이미 구현된 리눅스 서버에 텔넷으로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그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이 세번째 방법입니다. 인터넷 상에 리눅스 쉘을 연습용으로 제공해주는 곳이 몇 군데 있는데 그것도 리눅스가 진짜 돌아가는 것처럼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해 놓은 곳과 진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곳으로 나뉘어집니다. http://www.linuxzoo.net 여기는 진짜 리눅스 루트계정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곳입니다. 여러 배포판의 리눅스와 윈도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리눅스 센트OS, 리눅스..
② 개인용, 중소규모 서버 구성 방법 두가지 : 일반적인 방법 vs 가상화
기본적인 하드웨어, 네트워크 셋팅을 마치고 이제는 서버를 실제로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하지만 실제 서버 구축하는 방법은 인터넷과 책을 찾아보면 너무 흔하고 OS 버전과 배포판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을 하고 대신 전반적인 개념 위주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일단 서버 구축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서버 한대당 OS 하나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Physical Machine)이 흔했지만 대략 2010년 이후로 VMware나 Citrix 로 대표되는 가상화 방식(Virtual Machine)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서버 뿐만 아니라 일반 유저들도 개인 용도로 가상화 어플리케이션을 널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가상화는 물론 아주 오랜 옛날부터 있던 개념이고 가상..
① 개인용, 중소규모 서버 운영에 앞서 간단한 리눅스 소개
리눅스는 보통 서버용도로 많이 쓰이고 개인용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운영체제라 실제 사용할 일이 있을까 싶었지만 우연히 교육을 받아보니 상당히 매력있는 운영체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더 알아보고 싶어서 개인용 혹은 중소규모 조직에 적합한 부담없는 서버 환경을 구축해서 (제 경우 맨 처음에는 30만원 상당의 HP MicroSvr G7 N54L 서버, 3TB 하드디스크, 8GB ECC 메모리를 구입해서 CentOS 7.0 를 설치했었고 나중에는 ESXi 하이퍼바이저 설치 후 그 위에 리눅스와 윈도우 서버를 올려 가상화 운영) 집에서 일반 가정용 인터넷망(KT 광랜)에 연결해 현재까지 돌리고 있습니다. 사실 출시된지 꽤 된 제품이라 퍼포먼스가 상당히 떨어지지만 개인 용도나 중소규모 조직에서 사용하기에 큰 불편..